🧠 Word2Vec의 두 가지 방식: CBOW vs Skip-gram
Word2Vec은 단어를 벡터로 표현하는 대표적인 분산 표현 기법 중 하나이다.
이 알고리즘에는 두 가지 주요 학습 방식이 존재한다.
CBOW(Continuous Bag of Words) 와 Skip-gram이다.
✅ 1. CBOW (Continuous Bag of Words)
- 주변 단어들(context) 을 보고 중심 단어(target) 를 예측한다.
- 전체 문장의 문맥 평균으로 중심 단어를 추측하는 구조이다.
📌 예시
문장: "I love natural language processing"
중심 단어: "natural"
입력 (주변 단어): ["I", "love", "language", "processing"]
출력 (예측): "natural"
📌 특징
- 학습 속도가 빠름
- 일반적인 단어 예측에 적합
- 적은 데이터로도 잘 작동
✅ 2. Skip-gram
- 중심 단어 를 보고 주변 단어들 을 예측합니다.
- 하나의 단어로 문맥을 예측하는 방식으로, 희귀 단어 학습에 특히 효과적입니다.
📌 예시
문장: "I love natural language processing"
중심 단어: "natural"
출력 (예측): ["I", "love", "language", "processing"]
📌 특징
- 희귀 단어 학습에 강함
- 대용량 데이터에서 성능 우수
- 단어 의미를 더 잘 포착
- CBOW보다 연산량은 많음
🔍 CBOW vs Skip-gram 비교표
항목 | CBOW | Skip-gram |
---|---|---|
예측 대상 | 중심 단어 | 주변 단어들 |
입력 | 주변 단어들 | 중심 단어 |
학습 속도 | 빠름 | 상대적으로 느림 |
희귀 단어 학습 | 약함 | 강함 |
데이터 크기 요구 | 적어도 학습 가능 | 많을수록 좋음 |
특징 요약 | 문맥 → 중심 단어 | 중심 단어 → 문맥 |
🧠 Word2Vec - CBOW vs Skip-gram, 어떤 방식이 더 좋을까?
Word2Vec은 단어를 벡터로 변환해주는 대표적인 임베딩 기법이다.
이 Word2Vec에는 두 가지 학습 방식이 존재하는데, CBOW(Continuous Bag of Words)와 Skip-gram 이다.
그렇다면 두 방식 중 어떤 것이 더 성능이 좋을까?
상황에 따라 선택 기준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아래에 비교해 정리해 보았다.
✅ CBOW와 Skip-gram 비교표
기준 | CBOW | Skip-gram |
---|---|---|
학습 속도 | 빠름 ✅ | 느림 |
일반 단어 학습 | 잘됨 ✅ | 잘됨 ✅ |
희귀 단어 학습 | 약함 | 강함 ✅ |
데이터가 적을 때 | 잘 작동 ✅ | 성능 저하 가능 |
의미 표현 정교함 | 단순 | 더 정밀하고 세밀함 ✅ |
임베딩 품질 | 보통 | 더 우수함 ✅ (단어 유사도/유추 성능 좋음) |
🔍 실제 사용 시 추천 기준
정확한 단어 의미 표현, 벡터 품질이 중요하다면? → Skip-gram
- 대용량 데이터에 적합
- 희귀 단어 표현에도 강함
- 벡터 간 의미 유추에 유리
- 예:
king - man + woman ≈ queen
빠른 학습과 효율이 필요할 때? → CBOW
- 상대적으로 학습 속도가 빠름
- 데이터가 적을 경우에도 잘 작동
-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성능도 무난하게 나옴
✨ 결론
Word2Vec의 두 방식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,
Skip-gram은 정교한 의미 표현,
CBOW는 빠르고 효율적인 학습에 강점을 가진다.
✅ 최근에는 Skip-gram이 더 널리 사용되는 경향이 있지만,
데이터 특성과 목적에 따라 유연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다!
'데이터 사이언스 > 딥러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개념 정리] 텍스트를 벡터화 하기 : BoW, TF-IDF, LSA, LDA (0) | 2025.06.17 |
---|---|
📘 특이값 분해 (SVD, Singular Value Decomposition) (0) | 2025.06.16 |
[Python/Korean NLP] Colab에서 MeCab 사전 설치 오류 해결기 (0) | 2025.06.12 |
텍스트 데이터 다루기 - 희소 표현과 분산 표현 (0) | 2025.06.12 |
딥러닝 데이터 분석 흐름 요약 (0) | 2025.06.11 |